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광주 게이
- 게이
- 대전
- 전국퀴어모여라
- 대전 레즈비언
- 광주 퀴어
- 전퀴모 광주
- 대전 성소수자
- 광주전퀴모
- 퀴어
- 성소수자
- 대전퀴어
- 광주
- 광주여성민우회
- 광주퀴어문화축제
- QIP
- 대전 퀴어
- 전퀴모
- 전남대학교
- 차별금지법
- 레즈비언생애기록연구소
- 대전 게이
- 광주 레즈비언
- 퀴어모임
- 광주퀴어
- 전퀴모5주년
- 광주퀴퍼
- 전퀴모광주
- 제로의예술
- 퀴퍼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TransRightsAreHumanRights (1)
전국 퀴어 모여라

올해 2월부터 3월 4일까지 세 사람이 우리 곁을 떠났습니다. 한 사람은 모든 농성현장과 집회에 함께 했고 자신을 필요로 한다면 언제 어디든 달려와 주었으며, 연극 를 쓴 이은용 작가입니다. 두 번째는 게이바에 오는 사람이 누구네집 몇 째 아들인지 온 동네가 다 아는 제주도에서 처음으로 제주퀴어문화축제를 열었던 김기홍 성소수자운동 활동가입니다. 세 번째, 성전환 수술 뒤에 육군에서 강제 전역당했던 변희수 하사입니다. 이들은 서울에서, 제주에서, 청주에서 그토록 뜨겁게 살고자 했던 생을 스스로 놓았습니다. 삶과 죽음은 자신의 몫이라고 하지만, 성소수자의 죽음은 오로지 자신만의 선택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. 한 사람은 자신이 성소수자임을 밝힌 후 집을 나와야 했고, 한 사람은 꿈에 그리던 일을 강제로 그만둬야..
전퀴모 이야기
2021. 3. 4. 18:00